티스토리 뷰
1.7 종합원가계산
개별원가계산에는 작업이나 제품별로 제조원가를 집계하는 데 비해, 종합원가계산에서는 공장전체에 대한 종합적인 원가를 집계한다. 종합원가계산에서는 공장전체에 걸쳐 발생하는 기간적 원가로서 집계된다. 종합원가계산의 원가흐름도를 보면 아래와 같다.
위의 그림에서 볼 수 있듯이 제조공정별로 제조원가를 집계하고, 일정기간 동안 각 공정별 완성품과 미완성된 기말재공품에 제조원가를 배분하여 당기완성품제조원가와 기말재공품원가를 계산한다. 이때 사용하는 방법은 크게 선입선출법과 평균법 두 가지 방법이 있고, 마지막 단계인 완성품원가와 기말재공품원가의 계산에 초점을 맞추어 회계배분을 설명하고자 한다.
① 선입선출법
선입선출법은 기초재공품을 우선적으로 가공하여 완성한 다음에 당기투입분의 제조에 착수한다는 가정하에서 당기완성품원가와 기말재공품원가를 계산하는 방법이다. 마지막단계에서 완성품의 원가는 기초재공품원가와 당기투입원가 중 완성품부담액의 합계액이며, 기말재공품원가는 당기투입원가 중 일부분이다. 기초재공품원가는 총액(재료원가와 가공원가로 구분하지 않음)으로 완성품원가에 포함되며, 당기투입원가는 원가요소별로 완성품과 기말재공품원가에 배분된다.
⓶ 평균법
평균법에서는 원가계산 목정상 기초재공품이 당기 이전에 착수하였음에도 불구하고 마치 당기에 착수한 것으로 가정한다. 따라서 평균법은 기초재공품원가를 당기에 발생한 제조원가와 같이 취급하여 완성품과 기말재공품에 배분계산하는 방법이다. 또한 평균법은 기초재공품 완성도를 0으로 하는 특수한 형태의 선입선출법이라고 한다. 따라서 완성품 총환산량은 완성품 수량에 기말재공품의 완성품 환산량을 합한 수량이 된다. 마지막단계에서 원가요소별 완성품환산량 단위당 원가에 완성품수량을 곱하여 완성품의 총원가를 계산하고, 원가요소별 완성품환산량총량 단위당 원가에 기말재공품의 완성품환상량을 곱하여 기말 재공품원가를 구한다.
1.8 활동기준원가계산
활동기준 원가 계산은 기존의 전통적인 원가계산방식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도입된 새로운 원가계산방법이다. ABC는 제조간접비를 소비하는 활동이라는 개념을 설정하고 이러한 여러 활동들에 따라 제조간접비를 배부하고 각제품별로 활동소비량에 따라 제조간접비를 배부함으로써 기존의 전통적인 원가계산방식에 비해 좀 더 합리적인 원가배부를 목적으로 하는 원가계산방식이다. 활동기준원가계산은 아래와 같은 단계로 이루어진다.
⓵활동분석
활동분석은 활동의 원인과 성과를 결정하는 기초가 되며, 기업의 경영활동을 규명하는 것이다.
⓶활동별 원가집계
활동분석 자료를 토대로 각 활동별 원가를 집계한다.
⓷원가동인의 결정
ABC시스템에 가장 중요한 개념은 원가동인이며, 원가동인은 각 활동별로 집계된 원가와 상관관계가 높고, 측정비용이 적게 들수록 바람직하다. 그리고 원가동인은 원가통제와 관련하여 조직구성원들의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여 결정함으로써 원가절감에 연결되도록 해야한다. ABC시스템에서 적절한 원가동인의 수는 일률적으로 말할 수 없고, 기대하는 제품원가의 정확성, 제품의 다양성 및 복잡성 정도에 따라 탄력적으로 결정된다.
⓸원가동인율의 산정
⓹원가집적대상별 원가배분
'원가회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원가회계 배분에 관해(재무회계영역) - 2 (0) | 2017.01.25 |
---|---|
원가회계 배분에 관해(재무회계영역) - 1 (0) | 2017.01.25 |
원가회계 배분에 관해 - 4 (0) | 2017.01.25 |
원가회계 배분에 관해 - 3 (0) | 2017.01.25 |
원가회계 배분에 관해 - 2 (0) | 2017.01.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