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인사

초우량 기업

녹시턴트 2017. 1. 25. 14:32

초우량기업?

초우량기업은 사회적 기대 혹은 책임을 충분히 충족하여 여러 이해관계자들로부터 인정받는 기업이며 coordinator trusteeship 역할을 잘 수행하여 다양한 이해관계를 조정하여 균형을 잘 이루고 있는 기업이다. 초우량기업의 인사지향점은 크게 전략지향, 개인지향, 학습지향, 윤리지향 네 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첫 번째로 전략지향에서는 전략과 HRM을 개별적으로 수행하는 것이 아니라 장기적인 전략과 HRM을 결합하여 전략적인적자원관리를 수행하고 있다. 두 번째는 개인지향점으로 직무소외 같은 노동문제는 잘못된 HRM에서 기인하다고 보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QWL에 신경쓰고 있으며 종업원의 삼면성 또한 고려하여 HRM을 수행한다. 세 번째로 학습지향 관점에서는 HRM에 수행하는데 있어 종업원들은 Theory YSystem IV의 관점에 기반하여 지속적으로 개발 훈련 해야 할 자원으로 보며 CDP와 같은 제도를 통해 지속적으로 능력을 개발하는데 노력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윤리지향은 기업을 공적인 용도로 보고 기업의 사회적 책임 및 Trusteeship의 역할을 강조하며 다양한 윤리헌장 제정 및 윤리교육을 강화하고 있으며 다양한 사회공헌활동을 수행하고 있다.

 

사회공헌활동

사회공헌활동은 기업이 얼마나 적극적으로 공헌활동을 하는가와 핵심적 업무와 얼마나 관련있는가에 따라 네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첫 번째는 적극성이 낮고 본업연관성 낮은 기부활동이 있다. 기부활동은 가장 흔한 활동으로 별 다른 파급효과를 기대하기 힘들다. 두 번째로 적극성이 높고 본업연광선이 낮은 자원봉사나 메세나 같은 활동이 있으며 최근 기업이 많이 수행하는 기업의 11촌 활동 및 11문화 활동이 여기에 속한다. 세 번째는 적극성은 낮지만 본업과 연관성이 높은 NGO파트너십이 있다. 이 공헌활동은 기업의 사업과 관련된 NGO단체와 협력을 통해 마케팅효과 같은 다양한 효과를 누리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적극성 정도가 높고 본업과 연관성이 높은 공익연계마케팅이 있다. 이는 NGO 파트너십의 특수항 형태로 NGO모금 활동 및 판매 촉진을 추구하는 것이다.

최근 기업들의 사회적 공헌활동 경향이 개인적 이타심을 기반으로 하는 자선이 아닌 인류의 삶의 질을 향상하기위한 박애로 변화 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에 따라 자본주의적 방법론을 비영리기관 활동에도 적용하는 박애자본주의라는 용어도 생겼으며 영리를 추구하는 기업 뿐 만 아니라 비영리기관에 있어서도 사회적 공헌활동을 단지 기부활동이 아니라 체계적이고 필수적인 활동으로 인식하고 있다. 사회공헌활동의 분류에 비추어 보았을 때 영리 및 비영리기관 모두 본업연관성이 낮은 기부 및 자원봉사메세나 같은 활동에서 사업과 연계를 할 수 있는 NGO파트너십 공익연계마케팅 활동으로 이동하는 움직임을 볼 수 있다.

'인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적특성  (0) 2017.01.25
직무 분석과 직무 특성  (0) 2017.01.25
사회적 공헌활동  (0) 2017.01.25
HRM의 개념모형  (0) 2017.01.25
HRM의 의의  (0) 2017.01.25
댓글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TAG
more
«   2025/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